본문 바로가기

심리학멍소리44

(심리학) 아이들 교육 심리학 4 (자기주장과 행복) 자기주장이 강하는 것의 의미 자기주장이 강한 아이들을 키우기 위해서는 어린 나이에부터 다음과 같은 생각을 심어 주어야 한다. 그것은 바로 세상은 다른 생각들로 가득 차 있고 우리는 모두 그것들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자기주장”을 굽혀서는 안된다. 아이를 교육시키는 것은 단지 무엇이 좋고 무엇이 나쁜지를 그들에게 가르치는 것에만 포함되지 않는다. 도덕성보다 더 많은 것이 있다. 공손함, 모든 생물에 대한 존중, 공존을 위해 사회 법규정에 적응할 필요성 같은 것들 말이다. 세상은 신체적, 정서적, 심지어 재정적 한계로 가득 차 있다. 예를 들어, 우리는 필요하지 않은 것에 돈을 써서는 안 된다. 아이들은 우리가 인정해주는 것보다 더 많은 것을 이해한다. 게다가 아이들은 유창하게 말하기 .. 2020. 8. 10.
(심리학) 아이들 교육심리학 3 (자기주장과 행복) 자기주장과 아이의 행복 관계 “행복”은 많은 장난감을 가지고 있거나 요구하는 모든 것을 얻는 것이 아니다. “행복”은 만족, 자존감 및 자신에 대한 건강한 사랑이다. 그렇기 때문에 자기 주장이 강한 아이는 자신감이 넘치고 활기차고 자기 주변의 모든 사람과 모든 것들과 쉽게 관계를 맺는다. 자기 주장이 강한 아이들은 자신이 느끼는 것과 원하는 것을 정확하게 전달하는 법을 배웠기 때문에 행복한 아이들이다. 왜냐하면 자신의 한계와 경계를 알고 일어나서 사회적 성과를 향상시키기 때문이다. 대인 관계에 뛰어나다는 사실과는 상관없이 사회적 능력은 선천적인 것이 아니다. 부모로서 혹은 때로 아이와 교감하는 어른으로서 접촉하는 모든 어린 아이들의 역할 모델이라는 것을 명심하라. 반면에 자기 주장이 약한 아이들은 자신감.. 2020. 8. 9.
(심리학) 성격 심리학 5 (망상증후군) “망상”적 오식별 증후군 인간의 뇌는 생각지도 못한 놀라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가 하면, 말도 안되는 “망상”을 떠올리기도 한다. “망상”적 오식별 증후군은 이러한 것을 보여주는 적절한 예시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증후군의 사람들은 자신이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어떤 것을 무조건 믿고 있지만, 그 믿음에는 그 어떤 논리적 또는 경험적 배경이 없다. 즉, 자기자신의 말이 무조건 맞다고 믿는 것이다. 이러한 망상 또는 환상에 불과한 신념이 이 증후군의 증상 중 일부이다. 그로 인해 환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완전히 잘못된 관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망상적 오식별 증후군의 종류 ○카그라스 증후군 카그라스 증후군 또는 카그라스 망상은 환자가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 중 한 명이 실제로 그 사람이 아니라 다른 사기.. 2020. 8. 8.
(심리학) 성격심리학 4(과대망상증) “과대망상증” 환자의 7가지 특징 과대망상증 환자는 과장된 자기 개념을 가지고 있다. 자기 자신이 굉장히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또 그들은 사회적 지위를 얻으려고 노력한다. 자신은 이렇게 대단한데 사회는 그것을 몰라준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그러나 그들은 과도한 자신감에 비해 애정이 없으며, 내면이 텅 비고 열등하다고 느낀다. 과대망상증 환자의 7가지 특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1. 주제 넘는 행동을 할 때가 많다.. 그들은 자신이 극히 중요하다고 믿는다. 2. 자신이 불멸이며 닥쳐오는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다른 사람을 조종하는 데 능한데, 그것이 바로 이들이 힘 있는 위치에 올라가는 방법이다. 3. 자기 자신이 전지 전능 하다고 느낀다. 그들은 종종 다른 사람들을 시험하여 자.. 2020. 8.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