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망상”적 오식별 증후군
인간의 뇌는 생각지도 못한 놀라운 아이디어를 만들어내는가 하면, 말도 안되는 “망상”을 떠올리기도 한다.
“망상”적 오식별 증후군은 이러한 것을 보여주는 적절한 예시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증후군의 사람들은 자신이 진실이라고 생각하는 어떤 것을 무조건 믿고 있지만, 그 믿음에는 그 어떤 논리적 또는 경험적 배경이 없다.
즉, 자기자신의 말이 무조건 맞다고 믿는 것이다.
이러한 망상 또는 환상에 불과한 신념이 이 증후군의 증상 중 일부이다.
그로 인해 환자는 자기 자신에 대한 완전히 잘못된 관념을 가지게 되는 것이다.
망상적 오식별 증후군의 종류
○카그라스 증후군
카그라스 증후군 또는 카그라스 망상은 환자가 자신과 가장 가까운 사람 중 한 명이 실제로 그 사람이 아니라 다른 사기꾼 같은 사람이 그 사람 행세를 하는 것이라고 믿는 질병이다.
이들은 그 사람이 두 명이 있다고 생각한다, 실제 그 사람과 그 사람인 척 가장한 어떤 한 사람이다.
이들은 무엇이 진짜인지 구분할 수 없고 그로 인해 망상적 오식별 증후군을 가지게 된다.
카그라스 증후군의 경우, 환자는 자신과 가까운 사람의 모습은 익숙하지만 감정적으로 그 사람과 가깝다는 느낌을 받지 못하는 것이다.
이 증후군의 경우, 시각적 인지 체계와 정서적 기억 사이에 연결이 되지 않는다. 환자는 이러한 섬망을 자기 자신에게 느끼기도 한다.
그런 경우, 환자는 다른 사람이 자신을 행세하고 있다고 느낀다.
○프레골리 증후군
또 다른 망상적 오식별 증후군은 프레골리 증후군이다.
이것은 피해망상의 일종이라고 보면 된다.
가장 일반적인 경우는 환자가 자신을 박해하는 사람이 있다고 생각하고 그 박해자가 다양한 모습을 취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환자는 처음 보는 사람도 자신이 아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낯선 사람을 자신과 친한 사람의 얼굴로 인식하는 것이다.
또한, 이들은 자신들이 실제로 알지 못하는 장소 또는 어떤 물건에 대해서 잘 알고 있다고 믿기도 한다.
과학은 아직 이러한 망상의 원인을 확실하게 알아내지 못했다.
○오셀로 증후군
상상은 질투를 유발하는 경우가 자주 있다.
여기에는 끊임없는 의심이 포함되어 있는데, 이것은 사실 또는 확실한 근거와는 거의 무관한 것이다.
오셀로 증후군은 이러한 것들이 모두 최대 수준에 달한 것이다.
이 증후군을 가진 환자는 자신의 연인 또는 반려자가 불륜을 저지르고 있다는 강박적인 신념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절대적이고 확실한 “상대의 불륜 현장 급습”만을 원한다.
환자는 자신의 연인 또는 반려자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보지 못한다.
그저 배신자로만 볼 뿐이다.
그로 인해 환자는 상대의 부정의 증거를 찾기 위해 엄청난 시간과 에너지를 낭비하게 된다.
위에 설명한 이 3가지가 망상적 오식별 증후군의 전부는 아니다.
그리고 그 모든 것들의 공통점은 환자가 자신과 타인을 구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대부분 이러한 증후군들은 심각한 정신병과 관련이 있으며 전문가의 치료가 필요하다.
댓글